분류 전체보기 (47)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 Syslog 1. Syslog - 시스템 로깅 Syslog 표준은 컴퓨터, 라우터, 스위치, 프린터 등 모든 종류의 장치에서 사용되며, 사용자 로그인 이벤트와 같은 정보 메시지나 오류 발생과 같은 중요한 메시지들을 기록하고 관리자에게 경고하므로 분석이 매우 중요합니다. (시간이 많이 걸리고 지루한 프로세스. 중요 이벤트 메시지를 놓칠 가능성이 있음.) 각 장치가 syslog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므로(버퍼) 이 메시지를 서버로 보낼 수 있도록 설정하면 장치는 syslog 서버에서 캡처한 로그 메시지를 보내고 쉽게 분석 관리가 가능합니다. SNMP와 달리 syslog는 장치를 폴링하는 데 사용할 수 없고 syslog 표준은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를 보내는 데에만 사용됩니다. 폴링 정보는 간격을 두고 수신.. 네트워크 기초 - SNMP 1.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ICMP의 ping, tracert와 같은 명령어는 장비간 연결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지만 네트워크가 점점 복잡해지고 연결되는 호스트역시 증가되자 ICMP만으로는 관리, 점검이 어려워져 SGMP라는 프로토콜을 발전시켜 SNMP를 표준으로 만들었습니다. SNMP는 IP 네트워크에서 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여러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네트워크를 관리하기위해 모니터링이나 환경설정 등의 운영을 할때 사용되며 UDP에 정의된 응용계층 프로토콜이므로 관리 정보를 얻기 위해 프로그램이 준비되어야 합니다. 말이 복잡한데 그냥 관리해야할 장비가 많으니, 중앙집중식으로 관리를 편하게 하기위해 NMS라는 .. 네트워크 기초 - ICMP 1. ICMP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IP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프로토콜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트러블슈팅(문제진단, 해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인 ping, tracert/traceroute 명령어가 ICMP를 사용합니다. ARP를 설명할때도 썼었죠. 기억력이 좋으시다면 이전 OSI 7계층을 정리한 포스팅에서 ICMP가 3계층(Network Layer, Internet Layer) 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이라고 적어 두었던 것을 기억하실 수도 있겠습니다. 때문에 이 ICMP는 IP와 같이 사용됩니다. IP(Internet Protocol)에.. 네트워크 기초 - 하드웨어와 케이블, GBIC 지금까지 몇몇 프로토콜과 네트워크의 기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하지만 이런 이론적인 부분만큼 하드웨어의 종류와 기능또한 중요한 부분입니다. 앞서 OSI 7계층을 설명하며 간단히 적어두었지만, 조금 더 상세하게 알 필요가 있을듯 하여 포스트를 따로 구분하였습니다. 1. 물리계층 장비 물리 계층에서 핵심적인 내용은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는 특수한 기능을 가진다기보다는 단순히 전기적 신호에 관여하는 장비들입니다. 리피터 (Repeater)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거리가 길어질수록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는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리피터라는 장비는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켜 더 먼 거리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장비입니다. 다만 현재에는 다른 장비에 이 기능이 .. 네트워크 기초 - DNS (Domain Name System) 1. DNS (Domain Name System) 이젠 인터넷을 한다는 것은 웹 사이트들의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아와서 인터넷을 한다는 것을 이해하실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혹시 웹 사이트들의 주소를 기억하고 계신가요? www.naver.com www.google.com www.auction.co.kr 등.. 사실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이런 문자열로 된 주소가 아니라,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IP 주소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위에서 언급한 사이트들의 IP 주소를 기억하고 계시나요? 많은 인터넷 사이트들을 네이버, 구글이 아니라 172.217.174.110.... 125.209.222.141.... 이런 IP 주소로 기억해야한다면 엄청난 고역일겁니다. 그래서 DNS라는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 네트워크 기초 - DHCP 1. DHCP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DHCP란 우리가 지금도 사용중인 인터넷의 IP, 서브넷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등의 설정들을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UDP 기반 비연결형 서비스 프로토콜을 말합니다. 통신을 하기위해서는 IP를 사용해야하는데 이 IP를 사용자가 직접 매번 설정하기에는 너무 번거롭고 귀찮겠죠? 그렇기 때문에 IP 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들을 자동으로 제공받아 사용하게 되는데, 그러려면 DHCP를 어디선가 받아와서 사용해야합니다. 그렇기에 DHCP는 중앙집중식으로 관리되는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사용하게 됩니다. 2. DHCP 구성 DHCP Server 클라이언트로부터 IP 할당 요청.. 네트워크 기초 -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1. ARP 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ARP의 정의는 네트워크 상에서 IP주소를 물리적 주소로 대응(bind)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저희는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주소의 종류에 대해 배웠었습니다. IP Address와 MAC Address가 그것이었죠. 위 사진과 같은 간단한 네트워크에서 PC가 Laptop과 통신하는것을 상상해보겠습니다. PC사용자는 IP 목적지를 192.168.1.1로 설정할 수 있지만 이런 L2 네트워크에서 내부적으로 MAC주소를 사용하여 목적지를 찾게됩니다. 이때,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는것이 ARP가 되겠습니다. ARP Header 복잡해보이지만 그냥 Source, Destination 주소만 대충 확인하셔도 됩니다. Hardware .. 네트워크 기초 - MAC Address MAC 주소는 Apple 제품군에서는 AirPort IP라는 이름으로 불립니다. Macintosh, macOS와 헷갈릴 수 있어서 다른 명칭을 붙인 듯 합니다. 1. MAC 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IP 주소에 대해 배웠으니 이번엔 MAC 주소에 대해 배울 차례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IP주소는 많이 들어보고 사용했지만, MAC 주소는 그렇게 친숙한 이름은 아닙니다. 보통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를 사용해서 변환되기 때문인데, ARP에 대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MAC 주소는 1계층(물리), 2계층(데이터링크) 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에 할당된 주소입니다. 보통 제조될때 부여되는 주소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